점점점더하다 / DOT. DOT. DOT

DOT.DOT.DOT (2008)

Analogy: backhanded saying

There are lots of things I want to say but it is hard for me to be outspoken. I have kept talking around things rather than saying them directly. As a child projects emotion and works off desire while playing with dolls, I speak to myself analogically while depicting flowers, monkeys, poppies, tomato trees, and plant roots. I feel relieved as what I think and feel is conveyed from my heart to the picture, in a process of looking for, discovering and expressing images. The animal and plant images are extremely personal to me and play the role of poetic words through diverse combinations.


Repetition: duality of efficiency and stupidity

For the Wandering Patterns series the patterns of the leopard, zebra, tiger butterfly, dove, peacock, and rattlesnake are printed in black-and-white silkscreen, cut into small units, and then put or collaged together through abstract arrang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pattern. While adopting the efficient technique of silkscreen for producing multiple images, the original images are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I concentrate much more on the process of foolish repetitions than the process of efficient repetitions, and even feel delight in this process, spending more time on and feeling delight from the former process. Considering this, art seems fatuous.


Cutting and gluing: planned improvisation

As Umberto Eco stated “Life is certainly more like Ulysses than like The Three Musketeers – yet we are all the more inclined to think of it in terms of The Three Musketeers than in terms of Ulysses. Only when we think of life as a conventional novel, that is, romance, can we recollect or evaluate it,” daily life is described in one sentence based on five W’s and one H, that is, a sentence with clarified cause and result. Can I feel relieved if the sentences of thorough events and thoughts are divided like a poetic word or an arrangement of meaningless voices?

I discover a clue to the creation of a sentence with fragmentary memories and experiences through an act of cutting out and gluing repetitive, overlapping images. A rule is engendered from small modeling elements derived from each form in a process of cutting, and it becomes at a pattern of my work. As the process of cutting patterns and putting them together again is very momentary and extemporaneous, and if the patterns cannot be detached again, they bring about tension until my work is completed.


Accumulated Paintings – Abstract ‘I’

Accumulated Paintings, a collage work overlapping drawings that were produced one per day over a certain period is an attempt to represent the accumulation of everyday recurrent experience like some ‘indescribable’ abstract character. Each animal and plant image in this work is associated with my personal experience or specific event. For example, in recent work I have repetitively depicted plant roots, zebra patterns, roses, peacocks, bathrobe patterns, and puppies on thin paper in printmaking and drawing. These images serve as my personal metaphor reflecting my momentary thoughts and experiences for one year. As these drawings repetitively overlap, each individual meaning is concealed, and become like abstract dots, lines, and planes, rather than making me feel these are accumulations of work habitually done every day.(Miro Kim)


점점점더하다 (2008)

비유: 돌려말하기

하고싶은 말이 많다.

그렇지만 직설적인 표현보다는 돌려 말하는 습관을 가진 때문인지 대놓고 이야기하기란 쉽지 않다. 어린 아이가 인형놀이를 하면서 감정을 투사하고 욕구를 해소하듯, 꽃과 원숭이, 강아지 토마토나무, 식물의 뿌리모양 등을 그림으로서 답답한 나 자신에게 비유적으로 말을 건다. 이미지를 찾아다니고, 발견하고, 표현하는 각기의 과정마다 심장에서 그림으로, 머리에서 그림으로 생각과 마음이 전달되는 듯 느껴지며 시원한 기분이 든다.

지극히 개인적인 동기에서 유발되어 그림으로 표현된 동물이나 식물의 형태들은 화면 속에서 여러 가지 방식의 조합을 통해서 시어와 같은 역할을 할 준비를 한다.

반복: 효율과 어리석음의 이중성

<정처없는 패턴>연작은 표범무늬깔개, 얼룩말의 패턴, 호랑나비, 비둘기와 공작, 방울뱀 등을 흑백의 실크스크린으로 찍은 후 그 이미지를 따라 작은 단위로 오려낸 다음 다시 원본의 형태를 추적해 가며 붙이거나 추상적인 배열로 꼴라쥬한 작업이다. 다수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실크스크린이라는 효율적인 반복의 작업방식을 사용하지만, 그와 동시에 원래의 이미지를 모두 해체한 후에 다시 구축하는 어리석은 반복의 과정을 거친다.

이때 효율적인 반복의 과정에서보다 어리석은 반복의 과정에서 훨씬 더 집중하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또 즐거움마저 느끼는데, 과연 예술이란 어리석은 짓 인가 보다.

오려붙이기: 계획된 즉흥성

“우리의 삶은 ‘삼총사’보다는 ‘율리시스’와 비슷하다. 우리는 ‘율리시스’보다 ‘삼총사’의 범주를 사용해서 삶을 생각한다. 전통적인 소설 즉 로망스로 생각할 때만이 삶을 회상하거나 삶에 대해 평가를 내릴 수 있다.”는 에코의 문장처럼, 사회생활에서 우리의 일상은 육하원칙, 즉 원인과 결과가 규명된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된다. 발 뺄 틈이 없다. 이러한 빈틈없는 사건이나 생각의 문장들을 마치 하나의 시어처럼, 혹은 무의미한 듯한 음성의 나열처럼 조각조각 분리해 버린다면 조금은 숨통이 트일까.

반복, 중첩된 이미지들을 오려내고 붙이는 행위를 통해 기억의 조각이나 단편적인 경험을 다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 수 있는 실마리를 구성한다.

오려내는 과정에서, 각 형태에서 도출된 작은 단위나 조형요소들로 인해 규칙들이 생기고 그것이 어느 순간 작업의 패턴이 된다.

그러나 오려내었던 패턴들을 다시 화면에 붙이는 과정은 매우 순간적이며 즉흥적이고, 어느 위치에 한번 붙여버리면 다시 떼어낼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이 완성될 때까지 긴장감을 유발한다.

쌓이는 그림들 -추상적인 ‘나’

일정한 기간 동안 매일매일의 드로잉들을 여러 번 겹쳐서 화면에 꼴라쥬한 작업, <쌓이는 그림들>은 일상의 반복적인 경험의 축적을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어떤 추상적인 문장처럼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 때 소재가 되는 각각의 동물이나 식물의 이미지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특정한 사건과 연관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최근의 작업에서는 반복적으로 식물의 뿌리형상이나, 도돌이 얼룩말의 무늬, 장미, 공작, 목욕가운의 패턴, 강아지 등을 판화와 드로잉으로 얇은 종이에 표현하였는데, 이는 지난 일년간 본인이 경험했던 개인적 경험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적인 생각들을 반영하는 개인적인 은유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드로잉들이 겹쳐지고 반복적으로 중첩되면서 점점 개개의 의미는 감추어지고, 추상적인 점 선 면과 같은 역할을 하여, 오히려 나 스스로에게는 매일 매일의 습관처럼 행해지는 작업의 집적물로서 의미가 더 강하게 느껴진다.

(김미로)